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임상병리학과... 임상병리학과 나와서 국과수나 국립과학수사대에 취업할 수 있나요?
임상병리학과 나와서 국과수나 국립과학수사대에 취업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진로진학 콘텐츠를 다루고 있는 메이저맵 에디터 여름입니다.
질문하신 내용과 비슷한 사례를 다룬 글이 있어서 답변드립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임상병리학과를 졸업하면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 또는 국립과학수사대 등에 취업이 가능합니다.
국과수 및 각 지역 과학수사연구소, 경찰청 등에서는 임상병리사 면허증 소지자를 연구보조원, 법의조사관, 연구원 등 다양한 직무로 채용하고 있습니다. 실제 임상병리학과 졸업생들이 유전자분석과, 법의학과 등에서 법의부검, 임상병리 검사, 연구참여를 하고 있다는 사례가 다수 있습니다.
채용분야는 법의병리, 분자유전, 독성화학, 연구보조, 검시 등 여러 부서가 있으며, 최신 채용공고에서도 임상병리사 면허 보유자가 지원 가능함을 명시합니다. 일부 직무(특히 연구직/공무직)는 관련 분야 근무 또는 연구 경력(예: 5년 이상 등)을 요구하기도 하니, 졸업 후 곧바로 충분한 경력 없이 공공연구기관 정규직에 도전하는 건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졸업과 동시에 관련 자격을 갖춘 뒤, 임상병리사 국가고시 합격 및 면허 취득이 필수입니다.
이후 경력이나 추가 자격(대학원 진학 등)을 갖추면 채용문이 더 넓어집니다.
실제로 각 대학 임상병리학과 졸업생 취업자 명단에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등 국가기관 취업 사례가 있으며, 학교 차원에서 현장탐방, 직무설명회, 특강 등 관련 지원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즉, 임상병리학과 졸업(임상병리사 면허 취득 후) → 경력/준비도에 따라 국과수 등 연구기관 진출이 실현 가능합니다. 궁극적으로는 ‘관련 경험’과 ‘채용공고별 세부자격’을 꼼꼼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image 의료 및 병원과 관련된 직업
병원과 관련된 직업 하면 어떤 직업이 가장 먼저 떠오르시나요? 아마 의사, 간호사, 약사 등이 가장 먼저 ...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