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체불관련 민사소송 법정출석에 관해 있습니다 전회사에서 입금체불을 당하고 여러번 돈을 달라고 요구하였는데 날짜를 미뤄가며 주지않아
임금체불관련 민사소송 법정출석에 관해 있습니다 전회사에서 입금체불을 당하고 여러번 돈을 달라고 요구하였는데 날짜를 미뤄가며 주지않아
전회사에서 입금체불을 당하고 여러번 돈을 달라고 요구하였는데 날짜를 미뤄가며 주지않아 노동청에가서 먼저 간이대지급금을 받고 나머지 돈을 받으려고 했는데 고소안하면 주지않을거같아서 민사소송을 걸었어요 그리고 4월 18일날 법정출석을 하라는데 제가 잘몰라서그러는데 어떤자료를 들고 가야하고 어떤준비를 해야할까요? 변호사를 찾아야할까요? 만약에 변호사를 찾게되면 얼마정도 드는지 궁금합니다
임금체불 관련 민사소송에서 법정 출석을 앞두고 계시다면, 다음과 같은 준비를 하시면 됩니다. 변호사 없이도 출석은 가능하지만, 사안에 따라 도움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입증자료들을 가능한 한 원본 혹은 사본으로 정리해 가져가세요:
• 급여 명세서 또는 지급 내역 문자, 메일, 계좌 이체 내역
• 출퇴근 기록 (타임카드, 출입기록, 업무일지 등)
• 체불 금액 산정표 (언제 얼마를 못 받았는지 표로 정리한 것)
• 사측과의 대화 기록 (카톡, 문자, 이메일 등 요청 내용과 회신 포함)
• 노동청에서 받은 간이대지급금 수령 증빙 (얼마를 받았고, 남은 금액은 얼마인지 명확히 표시)
• 법원에서 지정한 시간보다 20~30분 일찍 도착
• 민사재판부 호실 확인 (법원 안내 데스크나 게시판)
팁: 본인이 준비한 입증자료를 요점 위주로 간단히 말할 수 있도록 연습해두면 좋습니다.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다음의 경우에는 변호사 상담 또는 선임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상대 회사가 법률 대리인을 내세우거나, 재판을 복잡하게 끌고 가는 경우
• 체불액이 수백만 원 이상이고, 다툼이 예상되는 경우
• 소송 진행이나 법정 절차가 너무 낯설고 부담스러운 경우
• 상담만 진행할 경우: 보통 3만~10만 원 내외 (1시간 기준)
• 간단한 민사소송 대리: 보통 50만~150만 원 선
• 법률구조공단 무료지원 또는 저소득층 법률지원도 가능
• 소액사건이라면 (청구금액 3,000만 원 이하) → 소액심판절차로 비교적 간단히 처리될 수 있습니다.
• 재판이 불안하다면 근처 법률구조공단에서 무료 상담 받아보는 것도 추천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