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친혼으로 태어난 자식이 몸이 안 좋아지게 되는 까닭 안녕하세요.근친혼을 하면 안된다는 윤리적 이유는 알겠는데근친혼으로 태어난 자식들은 장애나 지병이
안녕하세요.근친혼을 하면 안된다는 윤리적 이유는 알겠는데근친혼으로 태어난 자식들은 장애나 지병이 생긴다고 하네요왜인가요?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주셨습니다. 근친혼, 즉 가까운 혈연 관계에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결혼이나 출산이 왜 자식에게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지에 대해 과학적으로 차분히 설명드릴게요.
사람은 아버지로부터 유전자의 절반, 어머니로부터 나머지 절반을 물려받습니다. 이때 유전자는 보통 각각 다른 조합으로 섞이면서 유전병이나 이상을 어느 정도 피하거나 보완하게 됩니다. 그런데 근친혼의 경우, 부모가 공유하는 유전자가 많기 때문에 아이가 **양쪽 부모로부터 같은 유전자를 물려받을 가능성**이 훨씬 높아집니다. 이게 핵심입니다.
여기서 가장 큰 문제는 **열성 유전병**입니다. 열성 유전자는 겉으로는 건강해 보여도, 몸 안에 ‘숨은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부모 둘 다 이런 열성 유전자를 갖고 있으면, 자녀는 **두 개 모두를 물려받아 실제로 질병이 발현될 가능성**이 커집니다. 이 확률은 일반적인 결혼보다 근친혼일 때 훨씬 높아집니다.
예를 들어 부모 모두가 어떤 희귀 질환의 열성 유전자를 갖고 있다면, 일반적으로는 자식에게 하나만 전달되어 병이 발현되지 않지만, 근친 간에는 그 유전자가 중복되어 나타날 확률이 높아집니다. 그 결과로 유전 질환, 신체 발달 장애, 면역력 저하, 지적 장애, 심장·간·신장 기능 이상 등 여러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또한 근친혼을 반복하게 되면 유전자의 다양성이 점점 줄어들어, 돌연변이나 이상이 생겼을 때 이를 보완하거나 회복할 수 있는 유전자적 ‘여유’가 사라지게 됩니다. 이걸 유전학에서는 **근친교배로 인한 열화, 또는 유전적 다양성의 붕괴**라고 부릅니다. 동물 번식에서도 이 문제는 잘 알려져 있어서, 순종견이나 혈통마에서 발생하는 유전 질환들도 대부분 이와 같은 원인입니다.
결론적으로, 근친혼으로 태어난 자식에게 건강 문제가 생기기 쉬운 이유는, 부모가 공통으로 가진 열성 유전자가 자식에게 겹쳐서 발현될 가능성이 높고, 유전자 다양성이 부족해 돌연변이나 이상에 대응하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윤리적 이유 이전에 과학적으로도 매우 위험한 선택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