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고3 수시 고민입니다 왠만하면 국립대를 희망하는 내신 5.1 학생입니다.이제 9월에 수시 접수가 시작되는데

왠만하면 국립대를 희망하는 내신 5.1 학생입니다.이제 9월에 수시 접수가 시작되는데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라 한번 올려봅니다..-이정도 등급대면 학과를 버리는지 대학을버리는지 궁금합니다.(건축학과가 목표지만 성적때문에 건축공학과, 조경, 도시공학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수시 원서 작성시 적정이나 안정을 얼마나써야할지 궁금합니다.-생기부를 잘 챙겼다면 종합 상향도 괜찮을지궁금합니다.-각 학교마다 환산점수 차이가 심한데 최대한 제 내신을 높게 쳐주는 학교가 좋은건지 궁금합니다.-교과전형 환산점수를 그대로 종합전형 환산점수로생각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현재 한밭대, 교통대, 금오공대, 공주대, 한경대, 창원대, 목포대, 경국대(구 안동대) 정도 생각하고 있는데 다 비슷한 라인의 학교인지, 이곳 중 제일 입지 좋고괜찮은 대학은 어딘지 궁금합니다.(금오공대는 건축학과라 제일 선호하고 있습니다. 교통대도 집이랑 가까워서 선호합니다.)-대학교 수학이나 물리 수준이 어느정도인지궁금합니다. (얼마나 어려운지...)모든 질문에 답 안해주셔도 되니까 하나라도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이정도 등급대면 학과를 버리는지 대학을
버리는지 궁금합니다.(건축학과가 목표지만
성적때문에 건축공학과, 조경, 도시공학으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 특별한 학과(의료계, 교대)면 대학 네임을 버리지만 건축 관련이면 대학 네임드를 선택하시는게 개인적으로 좋다고 생각됩니다 하지만 진로가 확실하시고 이 학과말고 다른 학과가면 공부하기 싫을 것 같고 그런 느낌이 드신다면 학과를 맞춰가길 추천드립니다
-수시 원서 작성시 적정이나 안정을 얼마나
써야할지 궁금합니다.
: 재수, 정시로 갈 생각 없다면 무조건 안정적으로 쓰세요 적정도 많이 떨어지고 특히나 종합 전형이라면 정말 확실하지 않기에 하향까지 포함해 넉넉히 3~4개는 쓰셨으면 좋겠습니다. 원하는 대학들 쓰고 적정 1,2개 썼다가 재수하는 친구들 너무 많이 있습니다.
-생기부를 잘 챙겼다면 종합 상향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
: 생기부를 잘 챙겼다고 생각하는건 개인적인 의견일 수 있습니다. 전문가에게 생기부가 좋다고 들었으면 종합 상향 여러개(1~3개)써도 좋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의견이라면 하나정도 써보는거 추천드립니다.
-각 학교마다 환산점수 차이가 심한데
최대한 제 내신을 높게 쳐주는 학교가
좋은건지 궁금합니다.
:내신을 높게 쳐준다고 무조건 좋은 학교는 아닙니다. 예를 들어 학기를 적게 반영한다던지, 과목을 적게 반영하는 학교. 하지만 그것이 아니라 모든 과목을 반영하는데 예를 들어 미적분같이 어려운 과목에 가산점을 준다거나 이런 경우라면 환산 점수가 높은 곳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교과전형 환산점수를 그대로 종합전형 환산점수로
생각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 교과전형 환산점수랑 종합전형 환산점수랑 다릅니다. 교과전형 환산점수는 교과전형을 넣을 때 그 점수로 들어가지만, 종합전형은 환산점수가 아닌 성적의 평균 그대로가 들어갑니다.
질문하기